인하대 버뮤다 미스터리세균 실험실 배양 성공

안녕하세요 인하대학교 홍보팀 인하 인스타 7기입니다.인하대학교가 5일 1990년대 버뮤다 해역의 미스터리 미생물인 원숭이202 세균 배양을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는 소식입니다!조장천 교수 연구팀 심해청소원 원숭이202 세균 최초 배양·게놈 분석으로 실체 규명…네이처커뮤니케이션즈 게재인하대(조·묘은우 총장)는 5일 1990년대 버뮤다 해역의 미스터리 미생물인 원숭이 202세균 배양을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발표했다.인하대 생명 과학과 조·장 전 교수 연구 팀(임·용정 박사, 강·일남 교수)는 심해 미생물 군집의 최대 30%를 차지하는 원숭이 202세균을 배양되어 게놈 해독에 성공했다.원숭이 202세균은 1990년대, 버뮤다 해역에서 유전자 분석을 갖고 실재하는 것으로 예측됐지만 그동안 실체를 규명하지 못한 미생물이다.이번 연구 성과는 앞으로 해양 미생물 연구 발전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바닷물 1ml에는 약 100만개의 미생물이 서식하고 탄소와 에너지의 순환을 매개하고 지구 기후를 조절한다.1990년대부터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해양 미생물의 다양성이 드러났지만 대다수의 미생물은 실험실에서 배양되고 그동안 실체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원숭이 202세균은 약 20억년 전에 유기물을 부분 산화된 효소의 발달로 지구의 산소 대폭발 사건을 촉진한 세균으로 알려졌지만, 배양체가 없는 연구에 어려움이 있었다.연구 팀은 서해의 바닷물을 채취하고 배지(미생물 등의 배양을 위한 영양물)을 만들어 미생물 세포를 주입한 뒤 1개월간 빛을 주지 않고 배양했다.그 결과, 서해 시료에서 24개의 원숭이 202균주를 얻어 유전체 분석을 통해서 전체 게놈 배열을 해독했다.배양된 원숭이 202세균은 실험실에서 약 3일 1회 분열하면서 매우 늦게 자라며 빛에 노출하면 성장을 멈추고 죽는 것이 확인됐다.일반적인 세균의 운동 기구인 편모 대신 옛 세균(고세균, Archaea)의 특징인 아케 매우 운동 기구들 유전자를 가지고 헌 균에서 많은 유전자를 획득한 것으로 추정됐다.또 원숭이 202세균은 게놈에 다양한 유기물 분해 유전자를 가졌으며 실제로 후코스, 람노스, 후코네이토 등 다양한 유기물을 이용해서 실험실에서 성장했다.연구 팀은 이를 보았을 때 원숭이 202세균이 게놈에 있는 여러 종류의 물질 분해 유전자를 활용하여 심해 유기물을 청소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예상했다.연구 팀은 배양된 원숭이 202세균을 “빛을 싫어하는 해양 세균”이란 뜻의 “루시프기모나스마리ー나”이라고 이름 붙였다.원숭이 202세균은 생물 분류 체계에서 새로운 목에 해당하는 “루시프기모나다레스”이란 목이 새로운 탄생했다.이런 연구 결과가 담긴 “원숭이 202세균의 배양”논문은 국제 저명 학술지인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에 최근 게재됐다.인하 대학교 생명 과학과 조·장 전 교수는 “전 세계의 미생물학자들이 오랜 시간 실체를 확인하려던 설즈 202세균을 국내해에서 배양하는 해양 미생물 연구의 돌파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뜻 깊은 “로 “원숭이 202세균에 있는 수많은 유기물 분해 유전자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한편 이번 연구는 해양 수산부·해양 수산 과학 기술 진흥원이 추진하는 국가 생명 연구 자원 선진화 사업과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한국 연구 재단이 추진하는 중견 연구자 사업 등 연구 과제 지원으로 진행됐다.원숭이 202세균의 성장 곡선과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왼쪽)원숭이 202세균을 어둠 조건으로 21일간 배양한 뒤 강도가 다른 빛에 노출되면 빛의 세기에 비례하고 성장이 저해되는 현상이 관찰된다.약 3일 1회 분열하고 완전한 생장에는 50일 이상이 필요하다.(오른쪽)주사 전자 현미경 관찰 결과, 원숭이 202세균은 1마이크로 미터 미만의 작은 크기로 구형 또는 안 열도넛 모양.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조장천 교수 연구팀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임영정 박사, 조장천 교수, 강일남 교수.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조장천 교수 연구팀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임영정 박사, 조장천 교수, 강일남 교수.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조장천 교수 연구팀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임영정 박사, 조장천 교수, 강일남 교수.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