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공기업 취업, 대기업 취업, 임용시험 등을 준비하는 분들이 꼭 준비하는 필수 시험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많은 공기업에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1급 소지자에게 가산점을 주고 있죠.그런데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2020년 이후 개편되면서 아직도 어떻게 개편됐는지 혼란스러워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아직 심화, 고급 등 개편 전후의 시험을 혼동하시는 분들도 계시고요.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개편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전체 개편 사항을 자세히 소개한 후 세부적으로 무엇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개편2020년 이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시험의 종류가 다음 세 가지로 나누어져 있었습니다.고급 중급 초급, 그런데 시험을 여기까지 세 가지나 분류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이어졌고 결국 2020년 이후 아래와 같이 두 가지 시험으로 간소화되었습니다.심화 기본그럼 2020년 이전과 이후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하려는 취업준비생 분들은 시험이 어떻게 개편되었는지 명확하게 정리해서 어떤 시험을 준비해야 하고 어느 정도 점수를 받아야 하는지 정리해 놓으면 본격적인 시험 준비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020년 이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중급/초급고급, 중급, 초급 이렇게 세 가지 시험이 있었어요. 그리고 각 시험당 2개씩 급수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5지택일형 50문항> 70%이상 득점시: 1급 60%이상 득점지: 2급<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중급: 5지택일형 50문항> 70%이상 득점시: 3급 60%이상 득점지: 4급<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 4지택일형 40문항> 70%이상 득점시: 5급 60% 이상 득점지: 6급 2020년 이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기본심화, 기본 2개의 시험으로 간소화되었습니다. 대신 1급부터 6급까지의 급수체계는 그대로 유지되며, 각 시험당 3개의 급수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5지택일형 50문항> 80%이상 득점시: 1급 70%이상 득점지: 2급 60%이상 득점지: 3급<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본: 4지택일형 50문항> 80%이상 득점시: 4급 70%이상 득점지: 5급 60%이상 득점지: 6급 취업을 준비한다고?더이상고급,중급,초급시험은없기때문에심화,기본두가지시험중에하나의시험만볼수있습니다.취업을 준비하시는 분이라면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에 응시하셔서 1급 또는 2급 취득을 목표로 공부하시면 됩니다. 이왕이면 1급을 취득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지가 될 것입니다.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기본은 취준생보다는 한국사 개념의 기초를 다지고 싶어하는 초등학생, 중고등학생이 주로 응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더이상고급,중급,초급시험은없기때문에심화,기본두가지시험중에하나의시험만볼수있습니다.취업을 준비하시는 분이라면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에 응시하셔서 1급 또는 2급 취득을 목표로 공부하시면 됩니다. 이왕이면 1급을 취득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지가 될 것입니다.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기본은 취준생보다는 한국사 개념의 기초를 다지고 싶어하는 초등학생, 중고등학생이 주로 응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고급/중급/초급에서 심화/기본으로 개편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급수체계가 잘 정리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준비에 관심 있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