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 R&D 성과를 활용해 양자기술, 핵융합, 합성생물학 등 신산업·신시장 창출이 기대되는 분야의 딥사이언스 창업 지원에 나선다.
딥 사이언스 창업은 고난도의 과학적 지식과 R&D를 기반으로 하는 신흥 기술 분야의 창업이다. 큰 파급 효과가 기대되는데 높은 수준의 과학 기술이 필요하다.Moderna가 “10년 하버드 대학과 MIT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창업 후, 합성 생물학 기술 기반의 mRNA백신 제조 플랫폼을 구축하고 통상 5-10년이 걸리는 백신 개발 기간을 10개월 단축시키는 등 혁신적 파급 효과를 불러일으킨 것도 디프 사이언스 창업의 사례이다.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는 글로벌 혁신 경쟁 속에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미래 신기술 분야를 선점하기 위해서”딥 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https://www.kbiznews.co.kr/news/photo/202106/82479_44752_279.jpg)
우리나라는 국가 R&D 투자가 세계 최상위권(GDP 대비 4.96%/’2021년 세계 2위’)인 것에 비해 질적으로 우수한 R&D 연구성과 기반 창업 비중은 낮은 상황이다.또 공공부문 기술사업화·창업지원조직은 전문성이 부족하고 민간전문기관은 연구성과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 영세한 사례가 많아 과학기술을 활용한 창업·사업화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창업R&D에 “2027년까지 7,000억원을 투자해 R&D 창업기업을 ’22년 2879개’에서 ’27년 5500개(누적)로 2배 확대하고 창업기업의 5년 생존율도 ‘2020년 75%’에서 ‘2027년 85%’로 높이는 도전적 목표를 설정했다.
딥사이언스 맞춤형 창업지원
![](https://sehub.net/wp-content/uploads/2022/02/%ED%8F%AC%EC%8A%A4%ED%84%B0_%EC%B5%9C%EC%A2%85.jpg)
고난도 과학기술이 필요한 신성장 분야에 대해 연구자와 경영자가 각자의 장점과 역량을 살려 딥사이언스 창업기업을 설립하고, 연구산업 기업과의 협력 및 파트너십을 촉진해 기업성장을 가속화하는 등 딥사이언스 분야 기술혁신과 창업을 병행 지원한다. (사례) 양자분야 딥사이언스 창업기업인 아이온큐(IonQ)는 양자컴퓨터 논문을 계기로 연구자인 김정상 교수, 크리스 먼로 교수와 전문경영인 피터 채프먼이 공동으로 기업설립
(예)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지원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https://ccei.creativekorea.or.kr/ce3/images/000326/%EC%8B%9C%EC%95%884_2.jpg)
딥사이언스 분야 유망 연구성과를 경쟁형 방식으로 발굴하고, 연구자가 특허출원 단계부터 전문성 있고 체계적인 지원을 받아 지식재산을 확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한다.딥사이언스 창업기업에 대한 시드 투자 등 초기 성장을 지원하고 VC 투자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는(가칭) 딥사이언스 마중물 펀드를 조성(2017년까지 최대 4500억원)하고 정책금융 대상에 딥사이언스 분야를 포함해 딥사이언스 기업에 대한 다양한 자금 공급을 추진한다.딥사이언스 창업기업에 필수적인 연구시설 및 장비 활용을 위한 예산 부담 완화를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병역지정업체 추천 시 가점을 부여하거나 혁신역량 기반 클러스터 인프라를 지원하는 등 종합적인 지원을 추진한다. 딥사이언스 창업성장 생태계 조성
공공 연구소 기술 지주 회사 중심의 기획형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민간 전문 기관이 대학 및 출연 연구원 공공 연구 성과를 자유롭게 탐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자산 실사 권한을 강화하는 등 민간 중심의 기술 사업화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해외 협력 기관과 공동으로 글로벌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등 창업 기업이 죽음의 계곡을 넘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성장 지원을 고도화하는 혁신 제품에 대한 혁신성 평가 시, 딥 과학 분야에 대한 제품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테스트 구입 제품 유형(물품, SW서비스 등)과 구매 방식(구매, 리스, 구독 등)도 다양화를 추진한다.외부 전문가의 활용 성과 보상을 구체화되고 주식 등 다양한 방식의 성과 보상 근거를 마련하고 연구 성과의 활용·확산 및 연구 성과 기반 창업 등을 촉진하기 위한 법률 제정 등 딥 사이언스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서 법령 및 제도를 정비한다.특히 공공(연의)연구자가 연구 사업화 과정에서 부닥치는 이해 충돌 사례 및 방지 절차 등을 구체화한 가이드 라인을 준비하고 막연한 공포가 연구 성과 활용 창업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https://cdn.imweb.me/upload/S202108175493927e2a7a5/9babd9c376f52.png)
![](https://img8.yna.co.kr/etc/inner/KR/2021/08/03/AKR20210803042700030_01_i_P2.jpg)
![](https://cdn.imweb.me/upload/S20191001184f7610a5af0/f96afa84237d2.png)